CS☝🏻 패킷교환방식과 회선교환방식의 차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교환기술은 다수 디바이스 상호 간에 최적의 연결성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는 데이터전송에 사용되는 기술과 구조에 따라 교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방송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로 구분되는데, 패킷교환과 회선교환, 그리고 메시지교환은 대표적인 교환 네트워크다.
회선교환(Circuit-Switched) 방식은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전용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이다.
전화(음성), 센서, 원격측정 등과 같이 비교적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을 가지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다.
- 회선의 설정, 데이터의 이동, 회선의 단절.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 회선을 할당받아 사용하므로 안정적이고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다.
- 회선이 단절되기 전까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때에도 다른 단말장치들이 회선을 이용하지 못하므로 이용률이 적다.
- 그러나 독점적으로 사용되므로 주변 트래픽이 많아도 끊어지는 등의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다.
메시지교환(Message-Switched) 방식은 데이터 논리적 단위인 메시지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회선교환 방식과는 달리 전용 전송 경로를 설정할 필요가 없고, 메시지에 목적지 주소를 첨부하여 전송한다.
메시지는 노드에서 노드로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되는데 각 노드에서는 메시지를 받으면 잠시 저장한 다음, 그 다음 노드로 보내고, 이러한 방식을 '축적 후 전달' 방식이라 한다.
패킷교환(Packet-Switched) 방식은 회선교환 방식과 메시지교환 방식의 장점을 결합, 단점을 최소화한 방식으로, 일정한 크기와 형식의 데이터 블록인 패킷을 교환기가 수신측(목적지) 주소에 따라 적당한 통신경로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교환방식이다.
- 현재 인터넷에서 많이 쓰는 방식
- 전송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므로 회선교환 방식보다 적은 비용으로 네트워크 설계할 수 있다.
- 메시지교환 방식처럼 노드가 교환기 역할을 수행하지만, 노드가 메시지를 축적하지는 않는다.
- 속도와 코드가 서로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서도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출처
http://www.jidum.com/jidums/view.do?jidumId=456
https://wonin.tistory.com/73
'CS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데이터베이스의 반정규화 (0) | 2022.08.02 |
---|---|
5. 문맥 교환(Context Switching)이란? (0) | 2022.08.02 |
4. TCP의 3가지 제어: 흐름제어, 오류제어, 혼잡제어 (0) | 2022.08.02 |
3. 커널(kernel)이란? (0) | 2022.08.01 |
1. 멀티스레딩(Multi-Threading)이란? (0) | 2022.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