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4 [Linux][CentOS] Port 번호를 바꾼 뒤 방화벽 설정은 필수다 앞서 네트워크 연결을 마친 후에 포트 번호를 변경해주려 한다. 포트 변경에 앞서 SSH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자면, Secure Shell, SSH는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보안 프로토콜이다. 이는 퍼블릭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접속할 때 보안상 안전하게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대표적인 사용 사례로는 데이터 전송과 원격 제어가 있다. Telnet vs SSH 기존에 사용했던 Telnet을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이 또한 원격 시스템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고, 표준 포트는 23번이다. SSH와의 핵심 차이점은 암호화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Telnet의 경우 데이터를 평문으로, 암호화하지 않고 보내기 때문에 패스워드와 같은 중요한 내용 모두 쉽게 노출된다. 그러나 SSH.. 2022. 10. 19. [Linux][CentOS] 네트워크 연결하기 VM 생성 후 CentOS를 설치하고 나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iso 이미지 파일을 CentOS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후, 모든 설정과정을 거쳐 설치를 완료한다. Time/Zone, Disk, 그리고 설치할 Software 타입(보통 Minimal을 설치한다) 등을 선택하고 위와 같은 창에서 Root와 User password를 설정해주면 설치할 준비가 끝난다. 그러나 이 글의 핵심은 바로 ✨네트워크 설정 방법✨...! 간략하지만, 중요한 내용은 모두 담아서 정리해보겠다! 처음에 NAT 어댑터를 설정해주면 리눅스 환경 접속 후 ip값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로 뜬다. 그러니까 다시 말해 네트워크 연결을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ifconfig 혹은 ip addr 명령어를 입력하면 eth0.. 2022. 10. 14. 4. TCP의 3가지 제어: 흐름제어, 오류제어, 혼잡제어 CS☝🏻 TCP의 대표적 3가지 제어 ✨TCP의 3가지 제어 전송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는 흐름제어 통신 중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잘못 수신되었을 경우 대처하기 위한 오류제어 네트워크 혼잡에 대처하기 위한 혼잡제어 1. 흐름제어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상이할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비하기 위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는 흐름제어 기능이 있다. 송신 측이 빠르면, 수신 측 버퍼가 넘치는 오버플로우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줄이기 위해 윈도우 크기로 송신 측 데이터 전송량을 조절한다. 해결방법 1) Stop and Wait: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보낸 후 응답 신호를 받고서 다음 패킷을 보내는 방법 해결방법 2) Sliding Window: 송신 측이 수신 측에서 받은 윈도우 크기.. 2022. 8. 2. 2. 패킷교환방식과 회선교환방식 CS☝🏻 패킷교환방식과 회선교환방식의 차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교환기술은 다수 디바이스 상호 간에 최적의 연결성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는 데이터전송에 사용되는 기술과 구조에 따라 교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방송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로 구분되는데, 패킷교환과 회선교환, 그리고 메시지교환은 대표적인 교환 네트워크다. 회선교환(Circuit-Switched) 방식은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전용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이다. 전화(음성), 센서, 원격측정 등과 같이 비교적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을 가지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다. - 회선의 설정, 데이터의 이동, 회선의 단절.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 회선을 할당받아 사용하므로 안정적이고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다. .. 2022. 7.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