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 생성 후 CentOS를 설치하고 나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iso 이미지 파일을 CentOS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후, 모든 설정과정을 거쳐 설치를 완료한다.
Time/Zone, Disk, 그리고 설치할 Software 타입(보통 Minimal을 설치한다) 등을 선택하고 위와 같은 창에서 Root와 User password를 설정해주면 설치할 준비가 끝난다.
그러나 이 글의 핵심은 바로 ✨네트워크 설정 방법✨...! 간략하지만, 중요한 내용은 모두 담아서 정리해보겠다!
처음에 NAT 어댑터를 설정해주면 리눅스 환경 접속 후 ip값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로 뜬다.
그러니까 다시 말해 네트워크 연결을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ifconfig 혹은 ip addr 명령어를 입력하면 eth0 혹은 ens32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는데 ip 주소 또한 잡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ipconfig는 windows, ifconfig는 linux 환경에서 ip 주소를 제공하는 명령어이다.
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해도 결과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명령어에 대한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ip addr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2. 아니면 net-tools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 yum install net-tools
(그런데 경로문제로 인해 yum 명령어가 안 먹힐 수도 있다. 이걸로 꽤나 애먹었다가 해결했는데 이 부분은 다른 글로 한번 작성해봐야겠다😊)
이건 처음에 NAT 어댑터를 추가해줌으로써 네트워크 장치만이 추가된 것이므로 해당 장치에 ip 주소를 할당해줘야 하고,
네트워크 장치명과 network-scripts 폴더 하에 있는 ifcfg 파일의 device명이 동일해야 한다.
1. 네트워크 장치명 확인하기
nmcli d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network device, type, state, connection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직 연결하기 전이기 때문에 disconnected라 뜰 텐데 이 부분은 캡쳐를 까먹었다 🙃,,
대신 마지막 단계에 연결 완료 후 결과를 올려보는 걸로,,
2.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NAT장치명} 설정
‼️ 이때 해당 파일은 root 권한으로 접근해야 수정할 수 있다 ‼️
#은 root, $은 user를 의미한다.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NAT장치명}
💫 수정해야 하는 부분
BOOTPROTO=none (or static)
ONBOOT=yes
기본적으로 BOOTPROTO=dhcp 로 설정되어 있는데 CentOS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동적IP를 할당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적 IP를 할당해주기 위해서는 none 또는 static으로 변경해줘야 한다.
그리고 ONBOOT를 yes로 바꿔주면, 재부팅 시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네트워크를 재시작할 수 있다.
💫 추가해야 하는 부분
IPADDR=x.x.x.x
GATEWAY=x.x.x.x
NETMASK=255.255.255.0 // PREFIX=24
정적 IP를 할당하겠다고 했으니까 할당해줄 IP 주소,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Gateway, 그리고 넷마스크를 지정해준다.
Gateway의 경우, VM Workstation Pro를 사용하는 경우엔 아래 경로를 따라가면 Gateway IP를 확인할 수 있다.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 NAT type의 VMnet8 접속 → [NAT settings]
넷마스크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로 나눌 때 사용하는데 IP 주소체계를 Network ID와 Host ID로 구분한다.
정확히는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인데 하나의 네트워크에 수많은 호스트가 존재하면 원활한 통신이 어렵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나눠주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이해는 되었으나 스스로 설명하는 데에는 부족함을 느껴 다시 공부하면서 따로 정리해볼 계획이다.
Prefix는 왼쪽부터 bit가 1인 값의 개수를 의미하고, 넷마스크 혹은 prefix 둘 중 하나의 값만 작성하면 된다.
회사에서 실제 업무를 위해 구축한 서버로 테스트하고 있던 거라 불필요한 부분은 삭제하고, IP와 Gateway는 가렸다..!
3. 반드시 네트워크 재시작
systemctl restart network
4. 마지막으로 nmcli d 명령어로 연결 확인하기
다시 ip add 명령어를 입력하면, eth0 장치에 IP 주소가 할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CentOS] Port 번호를 바꾼 뒤 방화벽 설정은 필수다 (2) | 2022.10.19 |
---|
댓글